대통령제
-
대통령제와 의원내각제 작동 원리 비교 설명정치·외교 2022. 12. 27. 07:04
대통령제는 권력 분산을 추구하는 제도로 입법, 사법, 행정의 삼권이 엄격하게 분리되어 있으며, 3개 권력 간의 상호 견제와 이를 통한 제도간의 힘의 균형에 헌정 제도의 초점이 맞춰져 있다. 법률 제정과 관련된 권한을 보면, 오직 의회 의원들만이 법안을 제출하고 발의하고 의결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으나, 대통령은 그 법안에 대한 거부권을 가지며 법원은 위헌심사의 권한을 갖는다. 메인웨어링과 슈가트는 대통령의 헌법상의 권한(constitutional power)과 대통령의 정당파워(partisan power)가 가장 중요한 제도적 요인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대통령의 헌법상 권한이 중요한 이유는 대통령제가 내각제와 달리 대통령-의회 간에 권력 분립의 원리에 따라 만들어졌기 때문에 헌법상의 권한이 대통령,..
-
대한민국 정부 형태의 변화 과정정치·외교 2022. 12. 25. 10:00
우리나라는 건국 후부터 제2공화국을 제외하고 대통령제의 모습을 가지는 정부형태를 가져왔다. 제2공화국 헌법에서는 의원내각제 정부형태를 취하였으나 제2공화국이 단명하여 제대로 의원내각제를 시행해 보지도 못하였으므로 우리나라는 대통령제 정부형태만을 채택한 국가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그러나 세부적으로 보면 현행 우리나라 정부형태는 순수한 대통령제라고 볼 수 없다. 그렇다고 의원내각제로도 볼 수 없다. 우리나라는 대통령제를 기본으로 하여 의원내각제를 가미한 정부형태라고 봐야한다. 헌법재판소도 우리나라 정부형태를 대통령제로 보면서 약간의 의원내각제적 요소도 있기는 하나 기본적으로는 대통령제로 인정하고 있다. 이는 대통령과 국무총리와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구체적인 정부형태 파악에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