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중국
-
북한과 중국 간 전략적 협력의 유인과 한계 분석중국·북한 2023. 1. 1. 23:30
오늘 살펴볼 논문은 2018년 이후 북중 전략적 협력의 유인과 한계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본 논문이 2018년 이후로 시기를 특정한 것은 시진핑과 김정은이 중국과 북한의 지도자로 등극한 2012년 이후부터 2018년 초까지 북중 정상 간의 만남은 한 차례도 없었습니다. 그러나 2018년에서 2019년에 약 1년 동안 5차례 만남이 성사되며 이전과 달리 북중 양국은 급속하게 밀착되었습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북중 간 협력을 증대하는 주요 요인을 미국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기존 논문들이 주로 중국이 북한을 어떻게 관리하고 있고, 북중관계 복원 이후 양국 관계를 논한 연구들이 두 나라 사이의 특수한 연대감과 정체성을 강조하였다면 본 논문은 기존 논문들에서 미흡하게 다룬 양국 협력의 유인과 한계에 초점을..
-
논문을 통해 바라본 북한과 중국의 관계 전망중국·북한 2023. 1. 1. 21:58
중국과 북한은 모순, 갈등, 긴장, 협력 관계를 반복하며 전략적 협력관계를 유지해오고 있다.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은 북·중관계의 안정적이고 견고한 관계를 넘어 혈맹관계를 형성시켰다. 그러나 양국은 밀월과 반목의 애증관계 속에서 긴장과 협력 관계를 끊임없이 반복해왔다. 1956년 8월 종파사건의 중국 간섭 이후 양국관계는 악화되었고, 김일성은 당시 북한정권을 크게 긴장시켰던 북한 영내 주둔하고 있던 중국군 철군을 요구한다. 마오쩌둥은 김일성의 철군 요구가 사회주의 진영을 이탈하려는 신호가 아닌지 의심하였으나, 북한은 진영을 이탈하지 않았고 1958년까지 중국군이 철군하게 되면서 북·중관계의 긴장은 해소되었다. 1960년대 전반기에는 중소갈등이 깊어지면서 중국은 북한의 지지를 얻기 위해 유화정책을 쓰면서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