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응답성
-
다수대표제 vs 비례대표제정치·외교 2023. 1. 15. 07:15
다수대표제와 비례대표제의 차이를 알아보고, 국회의 책무성(accountability)과 응답성(responsiveness)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떠한 선거제도를 채택하는 것이 유리한지 논의해보고자 한다. 다수대표제는 남들보다 많은 표를 받는 단순다수와 50% 이상 다수의 표를 받을 때까지 투표하는 결선투표인 절대다수가 있다. 반면 비례대표제는 10% 득표하면 10% 의석을 얻는 식으로 다수대표제와 비례대표제는 서로 다르다. 다수대표제 (majority representation)는 선거구 내의 총 유효투표의 다수를 얻은 정당이 의석을 독점하는 방식이다. 이것은 주로 의회에 있어서의 강력한 다수파의 형성을 목적으로 하여 실시되며 소수당보다는 다수당에 유리한 대표자의 선출방법이다. 이 대표법은 투표방법에 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