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관계학 이해를 돕는 추천 서적국제관계학 2023. 2. 24. 20:09반응형
조지프 나이, <국제분쟁의 이해: 이론과 역사> (한울아카데미, 2018)
국제관계학 입문자에게 가장 추천할 만한 책.
박건영, <국제관계사: 사라예보에서 몰타까지> (사회평론아카데미, 2022)
국제관계 주요 사건들을 전개 순서대로 설명하는 방식으로 구성됨.
파스칼 보니파스, <지도로 보는 세계 정세> (청아출판사, 2020)
1945년 이후 국제정치 주요 이슈에 대해 지도와 도표, 통계 등을 곁들인 훌륭한 다이제스트를 제공함.
헨리 키신저, <세계 질서> (민음사, 2016)
키신저는 고전적 현실주의 거장이자 국제정치학계가 배출한 가장 영향력 있는 정책결정자임. 베스트팔렌 조약을 시작으로 유럽, 이슬람, 아시아 지역을 아우르는 키신저만의 독특한 국제질서를 살펴볼 수 있음.
시기별 추천서적
19세기
Norman Rich, Great Power Diplomacy: 1814-1914 (McGraw-Hill, 1991)
에릭 홉스봄, <혁명의 시대: 1789-1848> (한길사, 1998)
에릭 홉스봄, <자본의 시대: 1848-1875> (한길사, 1998)
에릭 홉스봄, <제국의 시대: 1875-1914> (한길사, 1998)
이삼성, <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 2> (한길사, 2009)
20세기
William R. Keylor, The Twentieth-Century World and Beyond: An International History since 1900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에릭 홉스봄, <극단의 시대: 1914-1991> (까치, 1997)
제1차 세계대전
A. J. P. 테일러, <기차 시간표 전쟁> (페이퍼로드, 2022)
로버트 거워스, <왜 제1차 세계대전은 끝나지 않았는가> (김영사, 2018)
제2차 세계대전
A. J. P. 테일러, <제2차 세계대전의 기원> (지식의풍경, 2003)
티머시 스나이더, <피에 젖은 땅: 스탈린과 히틀러 사이의 유럽> (글항아리, 2021)
냉전
존 루이스 개디스, <냉전의 역사> (에코리브르, 2010)
윌리엄 스툭, <한국전쟁과 미국외교 정책> (나남, 2005)
Melvyn P. Leffler, Melvyn P. Leffler, and Odd Arne Westad (eds),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Cold War, Vols. I-III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냉전사 거장 세 명이 75명의 전문가를 초빙하여 냉전의 시작부터 끝까지의 시기를 외교와 안보 뿐 아니라 경제, 사회, 문화 등 냉전기 세계를 다차원적으로 조망한 야심작
냉전이후
이근욱, <아프가니스탄 전쟁> (한울아카데미, 2021)
이근욱, <이라크 전쟁> (한울아카데미, 2021)
민간인 학살
사만다 파워, <미국과 대량 학살의 시대> (에코리브르, 2004)
벤자민 발렌티노, <20세기의 대량학살과 제노사이드> (제주대학교출판부, 2006)
반응형'국제관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세대학교 김상근 교수의 호메로스 강의 (0) 2023.02.24 국제관계의 이해4(Politics, 앨리슨외교정책결정, 케네스월츠, 고립주의, 아이언트라이엥글, 전쟁, 비정부기구, 국제기구) (2) 2023.01.12 국제관계의 이해3(막스, 막시즘, 구성주의, 중세봉건주의, 중상주의, 100년평화, 대리전쟁, 냉전이종식된이유) (0) 2023.01.11 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의 국제질서 비교 (0) 2022.12.30 국제관계의 이해2(국제사회, 패러다임, Balance of Power, 무정부) (0) 2022.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