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내각제
-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해를 줄이기 위한 대안은?(의원내각제, 준대통령제, 대통령중임제)정치·외교 2023. 1. 15. 05:00
몇 년 전 한국에서는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해를 줄이기 위해서 개헌 논의가 있었다.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해를 줄이기 위해 이른바 의원내각제, 프랑스식 이원집정부제(준대통령제), 대통령 중임제 중 어느 것을 도입하는 것이 좋을지 논해 보고자 한다. 대한민국은 헌법상 대통령과 행정부에게 예산 편성권, 증액 동의권, 인사권, 법안 제출권 등 미국 대통령과 행정부보다 막강한 권한을 행사하도록 제도적으로 보장하고 있고, 군사독재의 유산으로 인해 검찰 등 권력기관이 정치권력의 통치수단화되는 등 독립성과 중립성이 결여된 상태이다. 이러한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해를 줄이기 위해서 현재 정치권은 제왕적 대통령제를 폐기하고 의원내각제나 분권형 대통령제를 도입해 행정부에 집중돼 있는 권력을 분산시키고자 한다. 그러나 선거제..
-
대한민국에 필요한 권력구조는?정치·외교 2023. 1. 14. 05:21
대한민국은 제왕적 대통령제에 가깝다. 필자는 행정부에 집중돼 있는 권력 분산을 위해 의원내각제나 분권형 대통령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현재 대한민국은 헌법상 대통령과 행정부에게 예산 편성권, 증액 동의권, 인사권, 법안 제출권 등 미국 대통령과 행정부보다 막강한 권한을 행사하도록 제도적으로 보장하고 있다. 또한 군사독재의 유산으로 인해 검찰 등 권력기관이 정치권력의 통치수단화되는 등 독립성과 중립성이 결여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사실 필자가 생각하는 가장 안정감 있는 행정부는 “프랑스식 의원내각제(준대통령제)” 이다. 프랑스 제5공화국 헌법 하의 의원내각제는 대통령제, 내각제의 요소를 융합해 만들었기에 두 가지의 성격을 동시에 지닌다. 대통령선출이나 의회구성이 모두 국민에 의한 직접선거로 이루어지므..
-
대한민국 정부 형태의 변화 과정정치·외교 2022. 12. 25. 10:00
우리나라는 건국 후부터 제2공화국을 제외하고 대통령제의 모습을 가지는 정부형태를 가져왔다. 제2공화국 헌법에서는 의원내각제 정부형태를 취하였으나 제2공화국이 단명하여 제대로 의원내각제를 시행해 보지도 못하였으므로 우리나라는 대통령제 정부형태만을 채택한 국가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그러나 세부적으로 보면 현행 우리나라 정부형태는 순수한 대통령제라고 볼 수 없다. 그렇다고 의원내각제로도 볼 수 없다. 우리나라는 대통령제를 기본으로 하여 의원내각제를 가미한 정부형태라고 봐야한다. 헌법재판소도 우리나라 정부형태를 대통령제로 보면서 약간의 의원내각제적 요소도 있기는 하나 기본적으로는 대통령제로 인정하고 있다. 이는 대통령과 국무총리와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구체적인 정부형태 파악에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