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대화 이론으로 설명되지 않는 국가는 어디일까?정치·외교 2023. 1. 14. 07:02반응형
근대화 이론이란 국가가 근대화될수록 민주화될 가능성이 높다란 이론이다. 경제발전이야말로 정치발전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No 브루주아 No Democracy" 자본가 계급이 성장해야 민주화가 일어난다. 내 재산보호 차원에서 의회에서 법률을 만들고 왕도 법에 귀속되어야 한다. 중산층이 두텁다는 것은 먹고 살기가 편하다는 것으로 해석되며 빗물질적 가치를 추구할 수 있는 여유가 된다는 것이다.
경제발전은 도시화와 매스미디어의 보급을 촉진시키고 교육수준을 향상시켜, 국민들로 하여금 폭넓은 시야와 관용, 합리적 선택 능력 등의 민주시민을 배양한다. 또한 경제가 발전하면 시민의식이 고양되고, 사회적 다원화가 촉진되어서 중산층의 폭이 두터워짐에 따라 민주정치의 제도화가 이루어진다.
* 중산층 : 관료, 경영인, 사무직 종사자, 과학기술 종사자, 학자와 지식인 등
그러나 이 근대화 이론으로 설명되지 않는 국가가 있다. 중동 산유국들이다. 산유국은 석유를 팔아서 국민들이 먹고 사는 재원을 마련한다. 물론 잘 살게 될수록 상업이 발달한다. 이는 “자원의 저주”로도 불리며 자원이 풍부하면 민주화 가능성이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여성의 지위도 낮아진다.
반응형'정치·외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수대표제 vs 비례대표제 (2) 2023.01.15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해를 줄이기 위한 대안은?(의원내각제, 준대통령제, 대통령중임제) (0) 2023.01.15 대한민국에 필요한 권력구조는? (0) 2023.01.14 개성공단 폐쇄로 본 집단의사결정(소집단의 역동성, 조직과정 그리고 관료정치) (1) 2023.01.13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은 소선거구 단순다수제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을까? (0) 2022.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