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전략
-
북한의 비대칭위협에 대한 한국의 비대칭전략 수립방안 논의군사·전략 2023. 1. 13. 06:51
북한의 비대칭위협(특히 핵 및 미사일 위협을 중심으로)에 대해 한국은 어떠한 비대칭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논의해보고자 한다. 비대칭전략이란 상대가 예상하지 못한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여 상대의 강점을 무력화하고 약점을 이용하여 전략적 우세를 달성하고 전쟁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이다. 비대칭전략은 상대가 예측하기 어렵고, 상대의 약점을 겨냥하여, 상대의 우위를 상쇄하는 전략적 특성을 갖는다. 우리나라는 재래식 군대, 첨단전력을 보유하고 있고 북한은 핵미사일을 가지고 있다. 북한은 핵미사일은 있지만 재래식 전력은 우리나라보다 뒤떨어진다. 이렇게 재래식 전력이 열세한 국가들과 상대적으로 열악한 위치에 놓인 비국가행위자들에 의해 대량살상무기, 테러, 네트워크 공격 같은 비대칭 전략이 강화된다. 한국은 ..
-
적을 성공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3가지 조건군사·전략 2023. 1. 12. 06:47
억제의 성공조건 3가지는 의사전달, 능력, 신뢰성이다. 첫 번째 조건 의사전달은 어떠한 범주의 행위를 하게 된다면 어떠한 일이 일어나리라는 것을 적에게 정확히 알리는 것이다. 국제정치 영역에서 국가들은 서로 다른 문화, 가치체계, 신념 그리고 정치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서로 간의 의사전달은 매우 어렵고 많은 과오와 오해의 소지를 보유한다. 대부분의 위기 상황에서는 상대의 의도와 전략을 확실히 알 수 없기 때문에 정책결정자들 간에 견해가 충돌되고 갈등이 증폭되어 상황을 더욱 복잡하고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다. 억제자가 상대국가에 의사전달을 제대로 했더라도 이를 접수하는 상대가 그 의도를 정확히 인식하고 이해할 것이라는 보장은 없다. 의사전달이란 상대국가에 전달한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상대국가가 이를..
-
대륙 전쟁의 이론과 실제군사·전략 2023. 1. 10. 07:00
교재 : John Baylis et al., eds., 김일수 외 옮김, 『국제정치와 전략 제5판』(서울: 한티미디어, 2016) / 제14장 대륙 전쟁의 이론과 실제 서론 본 교재 제14장 대륙 전쟁의 이론과 실제는 1900년 이후 대륙 전쟁의 전략과 실제 전쟁을 치루며 그 전략이 얼마나 잘 예측되었고 이론가들의 주장이 성공 혹은 실패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있다. 그 예로 제1차 세계대전, 제2차 세계대전, 1973년과 1991년 중동전쟁의 네 가지 사례를 통해 연구 분석하였다. 1900년 이후 치러진 전쟁은 급속한 기술적 진보가 수반되었다. 그러므로 이 시기 전쟁은 급속한 변화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 해결이 군사이론의 핵심 사안이었다. 네 가지 사례 분석을 통해 반복되는 전쟁 속에 가장..
-
매킨더의 하트랜드 이론 vs 스파이크맨의 림랜드 이론군사·전략 2023. 1. 10. 05:03
매킨더의 하트랜드 이론과 스파이크맨의 림랜드 이론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해퍼드 매킨더는 대영제국의 전성기였던 빅토리아 시대에 영국이 후발 산업국가인 독일의 강력한 추격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해양강국의 지위를 점차 잃어가고 있다는 비판적 관점에서 지정학 이론을 제기한다. 매킨더는 1919년 『민주주의의 이상과 현실』에서 축 개념의 발전적 제시로 동유럽과 극동지역 일부까지 확대한 하트랜드(heartland) 개념을 제시한다. 하트랜드란 풍부한 자원과 옥토로 구성된 유라시아 대륙 내부(볼가강-레나강-티베트-북극해)로 해양세력 접근이 불가능하고 규모나 자원 면에서 세계적으로 중요한 지역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하트랜드를 지배 시 전 세계 지배가 가능하다는 이론이다. 반면, 스파이크맨의 림랜드..
-
북한의 중심(center of gravity)은 북한군인가 or 수도인 평양인가?군사·전략 2023. 1. 9. 08:33
남북이 충돌할 경우, 북한의 중심(center of gravity)을 식별하는 것이 전쟁의 승패를 결정지을 것이다. 필자가 생각하는 북한의 중심은 북한의 중심은 북한군이 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수도인 평양이 되어야 하는지? 그것도 아니면 다른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논해보고자 한다. 북한의 중심은 북한군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전쟁의 역사를 쓴 나폴레옹을 예를 들어보면, 나폴레옹은 6차 대프랑스 동맹을 맺은 유럽 국가들을 상대로 수많은 전쟁에서 이겼지만 결국 러시아 원정을 시작으로 나폴레옹의 시대가 끝나게 된다. 당시 나폴레옹은 러시아 모스크바를 차지하지만 이미 모스크바를 떠난 러시아 지도부와 러시아군은 항복하지 않고 멀리 도망 다닌다. 결국 연이은 기상악화와 알 수 없는 화재로 인한 식량부족..
-
전략의 4가지 차원과 한반도 지정학 여건에서 가장 중요한 차원은?군사·전략 2023. 1. 9. 08:33
전략수립 과정에서 고려해야할 전략의 4가지 차원에 대해 알아보고, 나아가 특히 한반도 지정학 여건에서 가장 중요한 차원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전략의 차원은 전략 수립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전략의 특성 또는 속성이다. 첫 번째는 작전적 차원이다.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에서 전쟁을 준비하는 전략(군수 차원)과 전쟁을 수행하는 전략(작전 차원)으로 구분되며, "칼을 만드는 사람의 기술과 펜싱을 하는 사람의 솜씨"가 아무런 관계가 없듯 작전적 차원에서의 전략이 진정한 전략임을 강조한다. 두 번째는 군수적 차원이다. 대표적으로 남북전쟁과 보불전쟁이 있다. 남북전쟁은 인력과 동원능력이 우세했던 북군이 승리였고, 보불전쟁에서는 몰트케의 효율적인 동원체계 구비 및 철도수송의 우수성이 승리로 이끌었다. 세 ..
-
전쟁의 4가지 유형과 유형별 사례군사·전략 2023. 1. 9. 08:15
전쟁은 전쟁에 참여하는 국가들의 목적, 노력의 정도, 동원하는 자원의 정도에 따라 4가지로 구분된다. 총력전쟁(total war), 전면전쟁(general war), 제한전쟁(limited war), 혁명전쟁(revol utionary war) 등이다. 첫 번째 총력전쟁은 다른 국가의 완전파괴를 목표로 하므로 핵무기 등 모든 자원을 동원한다. 대표적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소전쟁이 있다. 나치 독일과 소련 사이에 벌어진 인류 역사상 최대 규모의 총력전이다. 당시 인종과 이념 문제가 더해져 참혹한 방식으로 전개되었으며, 전쟁 중 사망/실종자만 2차 대전 전체 인명피해의 절반가량 차지한다. 두 번째 전면전쟁은 완전파괴를 목표로 하지만 모든 자원을 동원하지는 않는다. 이순신 장군의 한산대첩은 전면전 중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