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다수제 민주주의와 합의제 민주주의 제도의 차이정치·외교 2022. 12. 28. 10:16
공동체 구성원들이 민주주의의 작동방식에 대한 최소한의 합의를 반영한 정치제도의 형태는 정치적 의사결정방식에 관한 논의와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정치적 의사결정방식은 다수의 의견을 존중하는 경향을 보이는 다수제(majoritarianism)와 소수의 의견을 보호하는 경향을 보이는 합의제(consensus)로 구분된다. 다수제와 합의제 논의의 핵심은 특정국가의 정치제도가 소수자들의 보호보다는 효율성을 추구하여 권력집중에 중점을 두고 있는가 아니면 소수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권력분산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가이다. 공동체 구성원들의 이해관계가 다양하여 이들 간의 정치적 충돌이 불가피할 때 정부는 누구의 이해를 따라야 하는지에 대한 규범적 문제의 입장에 따라 제도적으로 다수제와 합의제로 나뉘게 된다. 다수제 국가들..
-
국제관계의 이해2(국제사회, 패러다임, Balance of Power, 무정부)국제관계학 2022. 12. 27. 09:47
1. 오늘날 우리가 사는 국제사회의 2개의 키워드로 답하시오. Struggle for power, Cooperation for peace 2. 국제관계학에서 사용하는 민족국가(Nation-State), 민족(Nation), 국가(State)에 대하여 간단히 답하시오. 1) Nation-state : political unit (territorial boundaries + population) with sovereignty 2) Nation : social-cultural entities (group of people with shared history and experience) 3) State : organized community under unified political system 3. 국제사회의..
-
북한 무인기 서울 영공 침공, 대북 제재에 관한 논의(데이비드 코헨 vs 존 미어샤이머)중국·북한 2022. 12. 27. 08:05
2022년 12월 26일 북한 무인기 5대가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우리나라 영공을 침범했다. 2017년 6월 이후 약 5년 6개월 만의 일이다. 북한 무인기는 경기도 김포, 파주, 강화도 일대와 서울 상공까지 넘어왔고, 일부는 비무장지대 남쪽까지 내려와 민간인이 사는 마을 지역까지 내려왔다. 우리 군은 공격헬기를 띄워 기관포 100발을 쏘며 북한 무인기 격추에 나섰지만 격추에 실패했다.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에 맞서 우리나라는 어떠한 전략을 취해야 할까? 이미 핵개발을 완성하고 탄도미사일, 무인기 등으로 무력도발을 강행하는 북한에 대해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아래 미국에서 두 토론자가 나와 북한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두 토론자의 열띤 토론을 보고 본인은 어떠한 입장인지 고민해보고..
-
대통령제와 의원내각제 작동 원리 비교 설명정치·외교 2022. 12. 27. 07:04
대통령제는 권력 분산을 추구하는 제도로 입법, 사법, 행정의 삼권이 엄격하게 분리되어 있으며, 3개 권력 간의 상호 견제와 이를 통한 제도간의 힘의 균형에 헌정 제도의 초점이 맞춰져 있다. 법률 제정과 관련된 권한을 보면, 오직 의회 의원들만이 법안을 제출하고 발의하고 의결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으나, 대통령은 그 법안에 대한 거부권을 가지며 법원은 위헌심사의 권한을 갖는다. 메인웨어링과 슈가트는 대통령의 헌법상의 권한(constitutional power)과 대통령의 정당파워(partisan power)가 가장 중요한 제도적 요인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대통령의 헌법상 권한이 중요한 이유는 대통령제가 내각제와 달리 대통령-의회 간에 권력 분립의 원리에 따라 만들어졌기 때문에 헌법상의 권한이 대통령,..
-
국제관계의 이해1(앨리슨의 외교정책결정과정, 집단안보, 자유주의 국제질서, 신자유주의, 구성주의, 웨스트팔리아조약)국제관계학 2022. 12. 26. 12:30
1. 앨리슨의 외교정책결정과정에서는 3가지 모델을 사용한다. 그 3가지는 합리적 의사결정자 모델, 정부 관료 모델, 조직 절차 모델이다. 첫번째 합리적 의사결정자 모델(Raional Actor Model)은 4가지 특성을 가진다. 첫째, 국익에 입각한다(Based on the national interest). 둘째, 단일개체로서의 민족국가이다(Nation-states as monolithic entities). 셋째, 국가 정부는 국민 국가를 대표하여 행동한다(National government acts on behalf of a nation-state). 넷째, 국익 극대화를 위한 합리적 계산을 한다(Rational calculations to maximize the national interest)..
-
'87년 체제'의 문제점과 제도적 개혁을 통한 극복방안정치·외교 2022. 12. 26. 11:07
'87년 체제'는 1987년 민주화 직후 성립된 정치 질서를 의미한다. 87년 체제의 문제점을 논하고, 어떠한 제도적 개혁이 해당 문제점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지 논해보고자 한다. '87년 체제'의 문제점은 크게 3가지로 나뉘어 볼 수 있다. 첫 번째, 문제점은 5년 단임제이다. 현 대통령제는 대통령의 권력과 임기에 대해 끊임없는 비판이 제기된다. 먼저 임기를 보면, 5년 임기이지만 현실적으로 길어야 3년 남짓한 기간만을 통치할 수 있을 뿐이다. 민주주의 원칙에 있어서도 단임제이기 때문에 재선을 추구할 수 없어 현직 대통령의 국정 운영의 결과에 대한 정치적 책임성을 물을 수 없다. 그러므로 일단 당선이 되면 차기 선거에서의 표를 의식하지 않아도 된다. 이런 이유로 '87년 체제'하에서는 임기 초..
-
인터넷 뉴스 댓글은 (부동층) 유권자의 투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정치·외교 2022. 12. 26. 09:00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대의민주주의는 국민들이 대표자를 선출해 정부나 의회를 구성하여 정책문제를 처리하도록 하는 민주주의이다. 대의민주주의는 정치참여가 필수이며, 가장 보편적인 정치참여는 선거이다. 선거는 대의민주주의의 정상적 작동을 위한 필수요소이다. 선거 이외에 사회운동, 이익단체 참여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정치참여를 할 수 있지만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그러나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이 대의민주주의의 위기를 불러올 만큼의 수준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최근 젊은 시민들은 인터넷뉴스, SNS 등을 통해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며 정치참여를 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정치참여 방법에 비해 간단하고 쉬운 방법이다. 인터넷뉴스에 익명성을 기반으로 단 댓글은 상호 간 소통이 가능하며 기사의 질을 평가하는 도구가 되..
-
WTO 생성배경과 발전과정 및 레짐의 효과성 분석과 전망에 관한 연구국제관계학 2022. 12. 25. 16:00
본문요약(초록) 본 연구는 WTO 생성배경과 발전과정을 알아보고 WTO 레짐의 효과성을 분석하고 전망한 연구이다. 1995년 WTO 출범은 관세와 비관세 등의 무역장벽이 축소되면서 전 세계의 무역량을 증가시키고 세계화 진행을 가속화하였다. 그러나 최근 반(反)세계화 움직임도 만만치 않다. 세계화를 목적으로 선진국들이 개도국을 착취하는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가 꾸준히 나오고 있고 세계화가 전 세계 빈부격차를 심화시킨다는 지적이 있다. 반면 강대국인 미국도 2018년 미국 트럼프 대통령 집권 시기 WTO 탈퇴카드를 여러 차례 보였다. 또한 WTO 회원국 간의 무역 분쟁이 증가하고 있고 WTO 회원국들이 상대 회원국의 불공정 무역관행이나 WTO 협정 위반사항에 대해 분쟁해결기구에 제소하는 건수도 매년 증가하고 ..